음향문제(제작)

음향 자격증 대비 모의고사 12.

디시브라인 2025. 4. 12. 05:49

다음 설명에 O/X 하시오

※ 프리앰프는 케이블 감쇄가 일어난 후 보정해야 의미가 있기에 출력장치로부터 최대한 멀리 배치한다.

( O / X )

※ 스테레오 각 채널간의 강도차는 머리크기보다 작은 파장인 250hz 이상에서 더욱 증가한다.

( O / X )

※ 머리를 반경 17.5cm 로 규정하고 음원의 속도가 340m/s 일때, 최대 측면 (90') 에서 들리는 소리의 두 귀 시간차는 6.5ms 이다. ( O / X )

※ 사람의 청각 구조로 음원과의 거리를 지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O / X )

※ 모든 음원의 정위와 시간차는 0'~20' 까지 비선형 관계에 있다 점차 선형적으로 수치가 늘어난다.

( O / X )

※ 시간차와 강도차로 인한 측면 정위가 서로 보정하여 공제되면 허음상 변위가 더욱 작아지는데 이것을 일명 compensation phenomenon (보정현상) 이라고 한다. ( O / X )

※ 시간차 정위가 강도차 정위보다 더욱 둔하다.

( O / X )

다음 설명의 빈칸을 채우시오.

스테레오 마이크로폰 테크닉은 동작 원리에 따라 두 마이크 사이의 강도차를 이용한 XY 또는 ( ) , 시간차를 이용한 AB 또는 ( ) , 그리고 시간차와 강도차가 결합된 ( )

로 분류한다.

어느 음원에 대한 두 마이크의 시간차 공식에 필요한 정보는 ( ) ( )

( ) ( ) , 음속 총 다섯개 이다.

XY 마이크는 강도차를 이용한 방식으로, 음원이 ( ) 의 한계지점으로 갈 때 두 마이크의 강도 차가 약 15dB 가 된다. 그리고 두 마이크의 물리각도가 감소하면 ( ) 가 ( 증가 / 감소 ) 한다.

MS 방식 마이크는 M 인 ( ) 마이크와 S 인 ( ) 마이크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S 레벨이 증가할 수록 유효 수용각도는 더욱 ( 증가 / 감소 ) 한다.

다음 객관식에 답하시오.

※ 이 마이크는 직접음에 비해 상당량의 정위감이 흐트러진 배면음원들이 첨가된다. 또한 스테레오 스프레드가 넓고 유효 수용 각도가 70' 정도로 매우 좁다.

a.AB

b.blumlein

c.XY

d.MS

※ 다음중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르시오.

a.무빙 코일 마이크는 진동판이 존재하지 않는다.

b.리본마이크의 리본 길이가 출력전압에 상관한다.

c.콘덴서 마이크는 진동판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변한다.

d.마이크가 작을수록 더욱 평탄한 주파수 응답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SNR 이 적기 때문이 가장 크다.

e.음향미로를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기에 요즘 카디오이드 마이크는 대부분 무지향성과 양지향성의 백터 합으로 이루어진다.

f.슈퍼 카디오이드 캡슐을 배플과 수직배치한 방식을 Phase Coherent Cardioid 라 한다.

다음 질문에 서술하시오.

※ Neumann U87 은 두가지의 진동판으로 세가지 극성패턴 (무지향성, 단일지향성, 양지향성) 을 제공하며 -10 dB 패드가 있다. 위 언급한 진동판 두개로 3개의 극성패턴을 나타낼 수 있는 이유와 -10dB 패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경우인가?

※ 라이브에서 MS 방식을 사용할 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 MS 방식에서 S 를 양지향성이 아닌 180' 각도의 두 카디오이드로 채택 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서술하시오.

 

 

 

 

(모든 문제는 필자가 직접 제작한 문제입니다! 영리적 사용하는 비 양심적인 학원이나 레슨 있으면 제보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