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의 전달 방향이 매질의 운동 방향과 반드시 같지 않은 파동은?
A. 종파 / B. 횡파 / C. 음파 / D. 구면파 / E. 소밀파 - 다음 파 중 횡파에 해당하는 것은?
A. 광파 / B. 물결파 / C. 음파 / D. 소밀파 - 구면 파면 형태의 음원이 2m 떨어져 있을 때 청취자는 몇 dB 감소된 음원을 듣는가?
- 파동의 진행 방향을 선으로 나타내어 경로를 쉽게 파악하는 방식은?
A. 음선 / B. X선 / C. 선음원 - 진동수를 나타내며 '1초에 몇천 번'이라는 뜻을 내포한 단위는?
A. cm / B. ms / C. Hz / D. kHz / E. MHz - 다음 중 온도가 동일할 때 음속이 가장 빠른 매질은?
A. 산소 / B. 물 / C. 진공 / D. 다이아몬드 - 다음 매질 중 음파의 전달이 가장 빠른 것은?
A. 진공 / B. 공기 / C. 철 / D. 물 - 다음 중 온도 t°C에서 공기 중 음속을 구하는 공식은?
A. 33.15 + 0.6t / B. 33.15 + 0.6t² / C. 331.5 + 0.6t / D. 331.5 + 0.6t² - 기온이 섭씨 30°C일 때 음속은?
A. 349.5 / B. 359.5 / C. 369.6 / D. 379.6 - 섭씨 0°C에서 음이 1ms 동안 1번 진동할 때 파장 거리는?
- 기준 파워를 W₀이라 할 때, PWL을 구하는 식은?
- 음향 파워가 0.1W이고 기준치가 10⁻¹²W일 때 PWL은 몇 dB인가?
- 음향 파워를 100배 증가시키면 음향 파워 레벨은 몇 dB 증가하는가?
- PWL이 110 dB일 때 음향 파워 W는?
- 다음 계산을 수행하시오:
(1) 10log10⁸ - 10log10³ = ?
(2) 10log10⁻¹¹ + 10log10⁻¹² = ?
(3) 10log10¹⁹⁸ + 10log10⁻¹⁸⁴ = ? - 다음 중 PW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 음원 출력을 나타낸다 / B. 측정 장소에 따라 다르다 / C. 기준은 10⁻¹² / D. 20배 커지면 20dB 증가 - 다음 중 음압의 단위는?
A. dB / B. Pa / C. phon / D. W - 다음 중 음압 레벨을 정의한 식은?
A. 10log(x/x₀) / B. 15log(x/x₀) / C. 20log(x/x₀) / D. 25log(x/x₀) - 음압 레벨 측정 시 기준 음압을 Pa로 쓰시오
- Rayls(음향 임피던스)는 파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음압 레벨(SPL)의 기준 주파수는?
A. 1000kHz / B. 1Hz / C. 500kHz / D. 1000Hz - 음압이 10⁵ µbar일 때 SPL은? (기준: 2 µPa)
- 음압이 4배 증가하면 SPL은 몇 dB 증가하는가?
A. 4 / B. 3 / C. 6 / D. 12 - 사운드 레벨 미터 웨이팅 필터 중 가장 평탄한 특성은?
A. dB(A) / B. dB(B) / C. dB(C) / D. dB(Z) - A와 Z 필터의 측정값이 다르면 어떤 특성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가?
A. 짧은 재생 시간 / B. 베이스 포함 / C. 스네어 / D. 보컬
(모든 문제는 필자가 직접 제작한 문제입니다! 영리적 사용하는 비 양심적인 학원이나 레슨 있으면 제보 부탁드려요!!)
(해설)
- ✅ B. 횡파 – 에너지는 진행 방향으로 가지만, 횡파는 입자가 수직으로 진동함.
- ✅ A. 광파 – 전자기파인 광파는 매질 없이도 진행 가능한 횡파임.
- ✅ 6 dB 감소 – 거리 2배 증가 시 음압레벨 6 dB 감소 (20log2 = 약 6 dB)
- ✅ A. 음선 – 파의 진행 경로를 선으로 나타내는 것이 음선(rays)
- ✅ D. kHz – '킬로헤르츠'는 1000Hz, 즉 1초에 천 번 진동을 의미.
- ✅ D. 다이아몬드 – 고체 중에서도 밀도 높고 강성 큰 다이아는 음속이 매우 빠름.
- ✅ C. 철 – 고체가 일반적으로 음속이 가장 빠름.
- ✅ C. 331.5 + 0.6t (m/s) – 공기 중 음속 근사식.
- ✅ A. 349.5 m/s – 331.5 + 0.6×30 = 349.5
- ✅ 약 0.3315 m – 331.5 m/s × 0.001s = 0.3315 m
- ✅ PWL = 10 log₁₀(W/W₀) – 음향 파워 레벨 정의식.
- ✅ 110 dB – 10log(0.1 / 10⁻¹²) = 10log(10¹¹) = 110
- ✅ 20 dB 증가 – 10log(100) = 20
- ✅ 0.1 W – 역산: 10^(110/10) × 10⁻¹² = 0.1
(1) ✅ 50
(2) ✅ -230
(3) ✅ 140
- ✅ B. 측정 장소에 따라 다르다 → 틀림. PWL은 음원 고유 특성으로 장소와 무관.
- ✅ B. Pa – 파스칼(Pa)은 음압의 단위.
- ✅ C. 20log(x/x₀) – 음압레벨은 진폭비이므로 20log 사용.
- ✅ 2 × 10⁻⁵ Pa
- ✅ 임피던스가 크면 반사, 작으면 전파 효율 ↑. 음향 매질의 특성을 결정.
- ✅ D. 1000 Hz – 인간 청력 기준 SPL 측정에 사용되는 주파수.
- ✅ 114 dB – SPL = 20log(10 / 2×10⁻⁵) = 약 114
- ✅ C. 6 dB – 20log(4) ≈ 12.04, dB로는 약 6dB 증가.
- ✅ D. dB(Z) – Zero-weighted, 가장 평탄함.
- ✅ B. 베이스가 있다 – A-weighting은 저음 감쇠, Z는 평탄하므로 차이 발생.
'음향문제(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향 자격증 대비 모의고사 6. (0) | 2025.04.12 |
---|---|
음향 자격증 대비 모의고사 5. (0) | 2025.04.12 |
음향 자격증 대비 모의고사 4. (0) | 2025.04.12 |
음향 자격증 대비 모의고사 3. (0) | 2025.04.12 |
음향 자격증 대비 모의고사 2. (0) | 2025.04.12 |